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정치부 유승진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총선 패배 이후 여권이 줄줄이 공백인 비상 상황이에요.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우선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관섭 대통령 비서실장의 사의 표명,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사퇴로 여권 핵심 자리들이 줄줄이 공백입니다.<br> <br>여기에 설상가상, 대통령은 국회 200석도 방어해야 하는 처지입니다. <br> <br>무슨 말이냐면요. <br> <br>22대 국회에선 범야권을 다 합친 192석에서 만일 국민의힘 안에서 이탈표가 8표만 나오면, 대통령 거부권이 무력화 되거든요. <br> <br>거부권을 써서 법안을 돌려보내도 국회에서 재의결할 수 있는 겁니다. <br> <br>개헌과 대통령 탄핵 소추도 의결할 수 있고요.<br> <br>대통령으로서는 비어있는 자리도 메워야 하는데 여당과의 관계 설정에도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[질문2] 마냥 비워둘 수는 없는 핵심 자리들인데요. <br><br>가장 먼저 대통령 비서실장 자리를 채워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의 뜻을 잘 이해하고 국정운영을 보좌하는 자리로 대통령 그림자로 불릴 만큼 중요하거든요. <br> <br>그래서 대통령과 내밀한 소통이 가능해야 하고요. <br> <br>또 정책을 논의해야 하는 여당과 소통도 잘 되는 사람이어야 하고요. <br> <br>현재 거론되는 인물로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장제원 의원이 있는데요. <br> <br>이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충암고, 서울대 후배이고요.<br> <br>장 의원은 대표적인 '친윤' 의원이죠.<br> <br>대통령 비서실장은 현역 의원 신분으로 맡을 수 없기 때문에 일각에선 이번 총선에서 낙선한 원희룡 전 장관도 거론됩니다. <br> <br>[질문3] 국무총리는요? <br><br>비서실장보다 더 난항입니다. <br> <br>왜냐면 총리 임명에는 야당 동의가 꼭 필요하거든요. <br> <br>협치를 할 수 있고 대통령이 바뀌었다는 쇄신 이미지도 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하는데, 쉽지 않죠. <br><br>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, 김부겸 전 총리, 김병준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 등이 거론됩니다.<br> <br>야당 동의를 받아야 하는 만큼 야권 출신인 김 위원장과 김 전 총리는 야당이 마냥 반대만 하진 못할 거라는 판단이 있고요. <br> <br>두 사람 역시 대통령과 친분이 있고, 김부겸 전 총리의 경우 윤석열 정부 초대 총리 하마평에도 오른 적이 있습니다. <br> <br>이외에도 권영세, 주호영 의원 등 여당 중진 의원들도 거론됩니다. <br> <br>[질문4] 한동훈 비대위원장 사퇴로 여당 대표 자리도 공백이잖아요. <br><br>이 자리는 성격이 좀 다릅니다. <br> <br>대통령이 아니라 전당대회를 거쳐 당원들이 뽑는 거니까요. <br> <br>전당대회를 치러야 해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앞서 말씀드린 대로 200석 방어를 위해서라도 누가 오는지가 중요합니다. <br> <br>후보군으로 거론되는 두 사람, 바로 이번 총선 수도권에서 어렵게 살아 돌아온 안철수, 나경원 전 의원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두 의원, 당선 이후 행보는 좀 다릅니다. <br><br>나 전 의원은 어제 "뼈를 깎는 성찰의 시간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" 정도의 입장을 낸 뒤 대외 행보는 자제하고 있지만, 안 의원은 어제 "의대증원 책임자 경질이 불가피하다", 오늘 "채상병 특검법에 찬성한다"며 대통령실과 빠르고 선명하게 각을 세우고 있습니다. <br> <br>더 신선한 인물로 당이 바뀌었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는 당내 의견도 있습니다. <br> <br>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인물이 16년 만에 강북 도봉갑을 뚫은 1987년생 김재섭 당선인입니다. <br> <br>김 당선인이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와 "개혁경쟁을 할 것"이라고 밝힌 만큼 이 대표 견제 역할도 맡을 수 있다고 보고요.<br> <br>[질문5] 궁금한 사람이 한 사람 더 있어요.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요. 당 대표 가능성이 있나요? <br><br>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낮습니다. <br> <br>한 전 위원장 주변에서도 당분간 숨 고르기에 들어가는 게 낫다는 의견을 내고 있고요. <br> <br>다만 한 전 위원장은 본인이 던져놓은 정치 개혁안을 완수해야 한다는 의지가 강한 만큼 여의도 복귀는 예상되는 수순인데요. <br> <br>하반기 전당대회 보다는 다음 재보궐 선거로 국회 입성을 노릴 거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유승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ichannela.com